[소통칼럼] 난청학생 위한 온라인 학습지원 확대 필요하다
상태바
[소통칼럼] 난청학생 위한 온라인 학습지원 확대 필요하다
  • 김철환 활동가
  • 승인 2020.04.14 09:23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애인 단체들이 청와대 앞에서 농학생의 온라인 학습지원 확대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장애인 단체들이 청와대 앞에서 농학생의 온라인 학습지원 확대를 촉구하고 있다. 사진=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시사주간=김철환 활동가] 학교의 개학이 단계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시행되고 있다. 지난 9일 고등학교 3학년과 중학교 3학년이 개학을 했다. 그리고 21대 총선이 끝나는 다음 날인 16일에는 초등학교 1-3학년을 제외하고 개학을 한다. 초등학교 1-3학년의 개학은 20일이다.

온라인 개학을 앞두고 정부는 나름대로 준비를 했다. ‘원격수업의 10가지 실천수칙’을 내놓고, 교사들의 직무연수 등도 진행했으며 저소득 학생들에게 PC등 스마트기기나 인터넷 가입지원도 하고 있다. 이러한 준비에도 지난 9일 개학하자마자 접속이 안 되는 등 문제들이 발생했다.

다행히 준비를 할 시간은 아직도 남아 있다. 그럼에도 학습 지도를 위한 지원 등 온라인교육의 취지에 맞춰나가려면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이 가운데는 난청학생들의 문제도 있다. 난청학생들의 경우는 교육부나 학교에서 신경을 많이 못 쓰는 영역이기도 하다.

난청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학습을 하는데 소외되는 경우도 있다. 장애 정도가 심한 경우는 비장애 학생과 별반 다르지 않다고 생각 때문이다. 어느 정도 들으니 학습을 위한 특별 지원이 필요 없을 것으로 판단에서이다.

이는 학교만이 아니라 부모들도 그렇다. 심지어 해당 학생의 경우도 학습에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정확히 듣지 못하여 놓치는 것들이 많다. 집단 토의나 교사가 뒤돌아서 이야기하는 등 입술 읽기가 힘들 때 더욱 그렇다. 문제는 이러한 상황이 온라인교육에서도 이어진다는 것이다. 누구도 어려움을 정확히 감지하지 못한 채 지나간다는 것이다.

온라인 수업을 하고 있는 대학의 경우 난청 대학생들의 불만들이 많다. “원음이 작아 교수님 목소리를 듣지 못하겠다.”, “잘 듣지 못해서 답변 등 언제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자막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자막이 있더라도 화면과 자막이 맞지 않아 내용 파악이 어렵다.” 등이다.

초, 중, 고등학교의 경우 일부만 개학을 하여 대학생들과 같은 문제는 많지 않다. 그럼에도 일부 난청학생들이 소리 잘 안 들린다, 교사의 입모양을 볼 수 없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 등 불만들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불만에 비해 정부가 준비한 초, 중, 고 난청학생들의 온라인 학습지원 대책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특수학교 학생들의 경우는 정책이 강화되고 있어 다행이다. 하지만 난청학생의 경우 잘 안 들리는 경우 자막이나 수어통역을 지원받기 어렵다.
 
다행인 것은 민간 업체를 중심으로 속기지원을 하려는 움직임들이다. 그리고 일부 교육청은 음성인식프로그램을 통하여 자막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민간영역의 지원은 한계가 있다. 예산이 마련되지 않으면 지속적인 지원이 어렵기 때문이다. 음성인식 또한 사람이 지원하는 속기와 달리 오자발생 빈도가 높다. 전면적으로 학습에 적용하기에는 아직은 무리가 있다.

교육권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이다. 따라서 교육받을 기회는 누구에게나 열려있어야 한다. 그것도 양질의 교육, 올바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경증 난청학생들에 대한 지원도 진행되어야 한다. 속기나 보청시스템 등 특성에 따른 지원 예산확보도 추진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초, 중, 고 난청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SW

k646900@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