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투·영끌’에 치솟는 리스크 ①] 신용대출 ‘빨간불’에 불안 고조
상태바
[‘빚투·영끌’에 치솟는 리스크 ①] 신용대출 ‘빨간불’에 불안 고조
  • 김지혜 기자
  • 승인 2020.09.18 13:44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대 시중은행 역대 최대…“매달 경신”
금융당국, 고강도 규제 놓고 고심

이른바 빚투(빚내서 투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이란 신조어까지 나오며 급증하는 가계대출의 잠재적 금융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대출은 주식과 부동산 투자로 이어지며 그에 따른 후폭풍이 상당할 전망이다. 증권사의 경우 신규 고객의 신용융자를 중단하기 시작했고, 금융당국 뿐만 아니라 은행들도 신용대출 옥죄기에 나서고 있다. <본지>는 빚투, 영끌에 신용대출 ‘경고등’이 켜진 가운데 시장 반응을 집중 분석해본다. < 편집자주.>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이 이달 들어 불과 열흘 만에 1조 원 이상 불어났다. 사진=뉴시스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이 이달 들어 불과 열흘 만에 1조 원 이상 불어났다. 사진=뉴시스

[시사주간=김지혜 기자] 금융시장에서 신용대출 급증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특히 최근 ‘영끌’, ‘빚투’ 관련 경고음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의 재무건전성은 물론 회사 측면에서도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업계 전반의 고민이 깊어지는 양상이다. 

◆ 은행권‧제2금융권 ‘대출 열기’ 

18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이 이달 들어 불과 열흘 만에 1조 원 이상 불어났다. 지난달 은행과 제2금융권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 급증세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는 것이다. 

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 10일 기준 신용대출 잔액은 총 125조4,172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말 당시 잔액 124조2,747억 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열흘 만에 1조1,425억 원이나 늘어난 셈이다. 이 같은 추세라면 이달 전체 신용대출 증가 폭도 역대 최대였던 지난달 4조755억 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전히 신용대출 열기는 사그라들지 않는 모습이다. 

이 같은 대출 급증 원인에는 저금리가 한몫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금리는 지난 10일 기준 연 1.85~3.75%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주택 관련 자금을 신용대출이 메워주는 모습이다. 이는 정부의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대출한도 수요를 누르니 주택 구매자들이 신용대출로 부족한 자금을 채우는 이른바 ‘풍선효과’가 현실화한 셈이다. 게다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생활자금 수요로 신용대출을 찾는 사례도 잦아졌다. 코로나19 금융 지원을 위한 소상공인 대출 금리보다 신용대출 금리가 낮기 때문이다. 

제2금융권 신용대출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매달 각각 5,000억 원, 1조8,000억 원, 2조2,000억 원씩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증권사에서도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매수자금을 빌리는 ‘빚투’ 현상이 과열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증권사에서도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매수자금을 빌리는 ‘빚투’ 현상이 과열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증권사, 신용융자 거래 중단

아울러 증권사에서도 주식 투자를 위해 증권사에서 매수자금을 빌리는 ‘빚투’ 현상이 과열되고 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5일 기준 국내 주식시장(코스닥·코스피)에서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7조5,684억 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지난 9일 처음으로 17조 원을 넘은 이후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시장별로 살펴보면 유가증권 신용거래융자는 8조7,658억 원, 코스닥은 8조8,026억 원에 이른다. 이는 지난 1998년 집계를 시작한 이래 사상 최대 수준이다. 코로나19로 인한 급락장에 개인투자자들이 대거 증시에 유입되면서 ‘빚투’가 증가하고 있는 셈이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투자자들이 보유 중인 주식 등을 담보로 증권사로부터 대출받은 규모를 말한다. 특히 신용융자는 주가 흐름의 차원에서 우려가 크다. 주가가 상승하면 문제없지만, 하락할 경우 투자자 피해가 클 수밖에 없는 구조다. 

정해진 기일 내 상환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증권사는 즉각 반대매매를 통해 담보주식 등을 처분하고 자금을 회수한다. 

이런 가운데 최근 증권사들이 잇따라 증권 담보대출 및 신규 신용융자 매수 중단에 나서게 된 이유는 개인 투자자들의 빚투 규모가 한계에 달해 증권사가 보유한 신용공여 한도가 소진됐기 때문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금융당국도 규제 강화를 검토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병두 금융위윈회 부위원장은 지난 8일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최근 신용대출 증가가 은행권의 대출 실적 경쟁에 기인했는지 여부와 정확한 용도 파악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신용대출 자금이 늘 수밖에 없는 상황만 탓하지 말고 진짜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타이밍 또한 중요하다. 적절한 시점 개입이 늦어지면 신용 불량자를 양산해 더 큰 위기가 촉발될 수 있다”면서 “다만 부적절한 금융활동은 심각한 수준의 도덕적 해이와 직결되기 때문에 적절한 경제 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중장기적 플랜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SW

sky@economicpost.co.kr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