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총소득 1년새 15만원↓…가계부채비율은 200% 넘겨
상태바
1인당 국민총소득 1년새 15만원↓…가계부채비율은 200% 넘겨
  • 박지윤 기자
  • 승인 2022.03.15 13:09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개발원, '국민 삶의 질 2021' 발간
2020년 GNI 3513만원으로 전년比 0.4%↓
가계부채비율 12.5%p↑…주요국보다 높아
국민 42% 소득에 '불만족'…'만족'은 23%
"코로나, 경제에 영향…부채 증가는 부담"
사진=pixabay
사진=pixabay

[시사주간=박지윤 기자] 코로나19 사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난 2020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년 전과 비교해 15만원 가까이 줄었다. 반대로 가계부채는 크게 늘어나면서 소득 대비 부채비율은 200%를 넘겼다.

통계개발원은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소득·소비·자산 영역의 7개 지표 가운데 1인당 국민총소득, 가계부채비율 등 2개 지표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가구 중위소득, 소득만족도, 소비생활 만족도, 가구순자산, 상대적 빈곤율 등 5개는 개선 지표로 분류됐다.

소득은 줄고 부채는 늘고…"코로나 영향"

구체적으로 지난 2020년 1인당 실질 GNI는 3513만원으로 2019년(3528만원)에 비해 약 0.4%(15만원) 줄었다. 최근 2년 연속 감소세로 2019년에는 약 0.1%(3만원) 감소한 바 있다.

2000년 이후로 따지면 GNI가 2년 연속 줄어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을 받았던 2008년과 2011년을 제외하면 매년 2%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해왔다. 2002년의 경우 GNI가 8.0% 늘어나면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바 있다.

통계개발원은 "물가 상승을 감안한 구매력 기준인 1인당 국민총소득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며 "코로나19가 전체 경제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가구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총액의 비율인 가계부채비율은 2020년 기준 200.7%로 1년 전과 비교해 12.5%포인트(p)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에서 부채원리금 상환에 필요한 지출이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비율은 2008년(138.5%) 이후 12년간 꾸준히 늘어나는 중이다. 이 기간 매년 3~4%p 수준의 증가를 보였는데, 10%p 넘게 치솟은 사례는 2016년(12.2%p)과 2020년이 유일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우리나라의 가계부채비율은 높은 수준이다.

주요국인 미국(101.1%), 일본(114.1%), 프랑스(127.2%), 영국(145.0%) 등은 이 비율이 150%를 넘지 않았다. 반면 호주(202.1%), 스위스(221.8%), 네덜란드(230.4%), 노르웨이(246.0%), 덴마크(258.6%) 등은 우리나라보다 높았다.

통계개발원은 "가계부채는 주택자금이나 생활자금 등으로 사용돼 가구에 도움을 주지만 부채 규모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가계와 국가경제 모두에 부담을 준다"며 "가계부채의 증가는 가계의 원리금상환 부담을 높이고 이로 인해 가구의 재무적 위험이 증가해 정상적인 소비 지출의 제약 요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민 10명 중 2명만 소득에 만족…소득불평등 개선 '미미'

우리나라 국민의 소득 만족도는 매우 낮은 편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서 자신의 소득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2021년 기준 23.4%로 집계됐다. 2년 전인 2019년(14.1%)과 비교하면 꽤 상승 폭이 크다. 이 수치는 지난 2003년부터 11~14% 사이에서 증감을 반복해왔다.

다만 '불만족'으로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42.2%로 2년 전(43.6%)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통'의 비중은 34.3%였다.

소득 만족도보다 소비생활 만족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조사에서 자신의 소비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사람들의 비율은 18.7%로 2019년(16.8%)보다 1.9%p 증가했다.

우리나라 개인 소득의 중앙값을 알 수 있는 가구중위소득은 2020년 기준 2844만원으로 전년 대비 102만원 늘었다. 우리나라 인구를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제일 가운데 위치한 사람이 이 정도를 번다는 뜻이다.

이 수치는 2014년 소폭 감소한 것을 제외하면 2011년부터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소득불평등 지표인 상대적 빈곤율은 지난 2020년 기준 15.3%로 1년 전보다 1%p 떨어지는 데 그쳤다. 10년 전인 2011년(18.6%)과 비교해도 상황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이는 중위소득의 50% 이하에 해당하는 가구의 비율을 말하며, 우리 사회 빈곤 가구의 규모를 보여준다.

OECD 자료를 보면 2019년 기준 한국의 상대적 빈곤율은 16.7%로 영국(12.4%), 독일(9.8%), 프랑스(8.4%) 등에 비해 높았다. 

특히, 66세 이상의 상대적 빈곤율은 43.4%로 미국(23.0%), 멕시코(26.6%), 호주(23.7%) 등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개발원은 "전체 인구의 상대적 빈곤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지만, 다른 나라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며 "그러나 다른 나라에 비해 전체 연령과 고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의 차이는 크다"고 진단했다. SW

pjy@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