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거래절벽' 길어지나
상태바
서울 아파트 '거래절벽' 길어지나
  • 유진경 기자
  • 승인 2023.11.03 07:35
  • 댓글 0
  • 트위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집값 상승 피로·주담대 금리 상승에 매수세 위축
고금리 기조 장기화·내년 총선 등 불확성실 커져
사진=뉴시스
사진=뉴시스

[시사주간=유진경 기자] "매물이 늘었지만, 사려는 사람이 없어요."

지난 2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한강푸르지오 단지 내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집값 상승과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거래절벽이 계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본격적인 가을 이사철을 맞아 문의가 늘어나는 시기인데, 전화 한 통이 오지 않는다"며 "매물을 내놓은 집주인들이 호가를 내리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이 주춤하고 있다. 최근 아파트값 상승에 따른 피로감 누적과 금리 인상, 대출 문턱이 높아진 영향으로 거래절벽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는 분위기다.

매수자와 매도자 간 팽팽한 힘겨루기가 진행되고 있다. 매수자는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7% 수준까지 치솟으면서 집을 살 여력이 없고, 매도자는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를 것을 기대하며 버티고 있다.

특히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시장 불확실성이 그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라 매도자도 매수자도 섣불리 나서기보다는 관망세로 돌아선 분위기다. 내년 총선 결과에 따라 부동산 정책이 바뀔 수 있어 관망세도 짙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감소하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총 매매거래량은 3362건으로, 전달(3852건) 대비 12.7%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가 줄면서 매물이 쌓이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이날 기준 서울 아파트 매물은 7만678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한 달 전(6만7967건)보다 3.7% 늘어난 수치다. 자치구별로 성북구가 같은 기간 10.2%(3105건→3423건), 중구 10.0%(923건→1016건), 동작구 9.1%(2844건→3103건), 마포구 7.5%(3009건→3237건)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이 전주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와 같은 0.07%를 기록했다. 자치구별로 강북권에선 용산구(0.19%)와 동대문구(0.18%), 중구(0.14%), 성동구(0.09%), 서대문구(0.09%)가 상승했다. 강남권에선 강동구(0.13%)와 송파구(0.12%), 강서구(0.10%), 금천구(0.10%), 영등포구(0.10%)에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에서는 정주여건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일부 상승 거래가 발생하고 있다"며 "다만 매도·매수인 간 거래희망가격 격차로 인해 전반적으로 관망세를 보이며 지난주와 유사한 수준의 상승세를 지속했다"고 말했다.

정부의 규제 완화 이후 시세보다 저렴한 급매물이 대부분 소진되고, 고금리 기조 장기화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7% 수준까지 오르면서 주택 매수세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에 다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8.2로 집계됐다. 전주(88.7) 대비 0.5%p(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 7월 24일(87.4) 이후 13주 만에 최저치다.

전문가들은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전까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주춤할 것으로 내다봤다.

권대중 서강대 일반대학원 부동산학과 교수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7%를 넘는 고금리 속에 부동산 시장에 관망세가 짙어지는 분위기"라며 "집값 상승에 따른 피로도 누적과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면서 주택 매수세가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금리 인상과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거래절벽이 계속되고 있다"며 "내년 총선 등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아파트 거래량이 주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SW

yjk@economicpost.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